당뇨병이란 무엇인가: 제2형 당뇨에 대한 개념과 진단 기준
불행히도 얼마 전 제2형 당뇨 판정을 받았습니다. 의사 선생님의 지시에 따르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스스로 제2형 당뇨에 관심을 가지고 관리를 할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나 자신의 건강뿐 아니라 많은 제2형 당뇨 환자분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정보들을 찾아서 향후 몇 차례에 걸쳐 당뇨, 특히 제2형 당뇨에 대해 집중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당뇨병은 흔히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체계적인 질환입니다. 특히 제2형 당뇨는 우리 생활습관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누구나 예외일 수 없습니다. 이 글에서는 제2형 당뇨병의 기본 개념부터, 어떤 기준으로 진단되는지, 그리고 조기 발견이 왜 중요한지를 살펴보겠습니다. 당뇨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관리의 첫걸음입니다.
당뇨병은 왜 '혈당의 병'이 아닌가?
많은 사람들이 당뇨병을 단순히 '혈당이 높은 병'으로만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마치 빙산의 일각만 보는 것과 같습니다.
혈당 즉 혈액 중에 있는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져서 소변으로 넘쳐나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근본적으로는 인슐린의 문제로 발생하는 대사질환입니다.
정상적인 혈당 조절 과정
섭취
분해
흡수
분비
에너지
포도당이 우리 몸을 유지하는 기본 공장인 세포 안에 들어가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인슐린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따라서 당뇨병은 단순히 혈당 수치의 문제가 아니라, 인슐린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뤄지지 않는 대사질환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제1형과 제2형, 무엇이 다를까
당뇨병은 발생 원인과 치료 방법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이 차이를 정확히 아는 것이 올바른 치료의 첫걸음입니다.
구분 | 제1형 당뇨병 | 제2형 당뇨병 |
---|---|---|
발생 원인 | 자가면역기전으로 췌장 세포 파괴 | 인슐린 저항성 + 분비 부족 |
인슐린 상태 | 절대적 부족 | 상대적 부족 또는 기능 저하 |
발병 연령 | 주로 사춘기나 유년기 | 주로 성인 (최근 젊은층 증가) |
국내 비율 | 2% 미만 | 98% 이상 |
치료 방법 | 인슐린 주사 필수 | 생활습관 개선 + 약물치료 |
제1형 당뇨는 인슐린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이고, 제2형 당뇨는 인슐린이 제대로 역할을 못하여 발생하는 것입니다.
인슐린 분비량 비교
정상인에 비해 제1형 당뇨 환자는 인슐린 분비량이 절대적으로 적으며, 제2형 당뇨 환자는 어느 정도 분비되지만 기능이 떨어집니다.
진단 기준: 혈당 수치로 보는 위험 신호
당뇨병 진단은 명확한 기준이 있습니다. 다음 4가지 기준 중 한 가지라도 해당하면 당뇨병으로 진단됩니다[2][3].
다뇨, 다음, 체중감소 등의 증상과
200mg/dL 이상
8시간 이상 금식 후
126mg/dL 이상
75g 포도당 섭취 후 2시간
200mg/dL 이상
과거 2-3개월 평균 혈당
6.5% 이상
당뇨병으로 진단되는 경우에도 다른 날에 한번 더 검사를 시행하여 확인해야 하며, 모든 혈액검사는 병원에서 정맥 채혈을 통해 얻어지는 혈장 혈당으로 검사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적혈구 내 혈색소에 포도당이 결합한 것으로, 혈당이 높을수록 당화혈색소도 높아집니다. 일반 혈당검사가 현재 상태를 보여준다면, 당화혈색소는 과거 6-10주 동안의 평균 혈당 조절상태를 반영합니다.
한국에서 제2형 당뇨병이 늘어나는 이유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젊은 성인층의 제2형 당뇨병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나이가 들어서 생기는 병이 아님을 보여줍니다.
젊은층 당뇨 증가의 주요 원인
맵고 짠 자극적인 음식
고칼로리, 고지방 음식
인슐린 저항성의
대표적인 원인
좌식 생활 패턴
신체활동 감소
학업, 직장 스트레스
불규칙한 수면
"최근 젊은 성인에게 2형 당뇨병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데, 비만 인구 증가와 관련이 깊습니다. 인슐린이 우리 몸의 필요한 곳에 잘 작용하지 못하는 인슐린 저항성의 대표적인 원인이 비만이기 때문입니다"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기능이 떨어져 세포가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연소하지 못하는 인슐린 저항성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는 유전적 소인에 환경적 요인이 더해질 때 발생하므로,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예방과 관리가 가능합니다.
당뇨병으로 진단되는 경우에도 다른 날에 한번 더 검사를 시행하여 확인해야 하며, 모든 혈액검사는 병원에서 정맥 채혈을 통해 얻어지는 혈장 혈당으로 검사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FAQ
Q. 제2형 당뇨병은 어떤 병인가요?
인슐린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분비가 부족해 혈당이 높아지는 만성 질환입니다.
Q. 제2형 당뇨병은 누구에게 흔한가요?
주로 40대 이후에게 흔하지만, 최근엔 젊은 층에서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Q. 당뇨병은 어떻게 진단하나요?
공복 혈당 126 이상, HbA1c 6.5% 이상이면 당뇨병으로 진단됩니다.
Q. 혈당 수치는 언제 측정하나요?
공복, 식후 2시간, 자기 전 등 다양한 시점에서 측정합니다.
Q. 제2형 당뇨는 완치가 가능한가요?
완치는 어렵지만 꾸준한 관리로 정상 혈당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맺음말
당뇨병은 단순히 혈당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신 건강과 직결되는 질환입니다. 정확한 개념과 진단 기준을 알고 계신다면, 조기 대응과 예방이 한층 쉬워집니다. 건강은 알면 지킬 수 있습니다.
※ 이 글에 제공된 정보는 참고용일 뿐이며, 의학적 조언이 필요한 경우, 반드시 전문 의료인을 찾아주세요.
참고 문헌
- World Health Organization. (n.d.). Diabetes. https://www.who.int/health-topics/diabetes, 2025년 6월 1일 접속.
- Sweet, K. (2025, April 28). Type 1 diabetes vs. type 2 diabetes. Breakthrough T1D. https://breakthrought1d.org/news-and-updates/type-1-diabetes-vs-type-2-diabetes/, 2025년 6월 1일 접속.
- Kutanzi, K. R., Lumen, A., Koturbash, I., & Miousse, I. R. (2016). Pediatric exposures to ionizing radiation: Carcinogenic consider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3(11), 1057. https://doi.org/10.3390/ijerph13111057
- MNote.org. (2025, April). DM ADA Diagnostic Criteria [Video].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19h0lwZnFBo
- Wikipedia contributors. (n.d.). Glycated hemoglobin. Wikipedia. Retrieved June 18, 2025, from https://en.wikipedia.org/wiki/Glycated_hemoglobin
- Choi, H. H., Choi, G., Yoon, H., Ha, K. H., & Kim, D. J. (2022). Rising incidence of diabetes in young adults in South Korea: A national cohort study. Diabetes & Metabolism Journal, 46(5), 803–807. https://doi.org/10.4093/dmj.2021.0236
- Kim, J.-D., & Lee, W.-Y. (2016). Insulin secretory capacity and insulin resistance in Korean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31(3), 354–360. https://doi.org/10.3803/EnM.2016.31.3.354
- Brutsaert, E. F. (2025, April). Diabetes mellitus (DM). MSD Manual Consumer Version. https://www.msdmanuals.com/home/hormonal-and-metabolic-disorders/diabetes-mellitus-dm-and-disorders-of-blood-sugar-metabolism/diabetes-mellitus-dm, 2025년 6월 1일 접속.
- Yoon, M.-s. (2025, May 1). Young diabetics in Korea double in 10 years: Study. The Korea Herald. https://www.koreaherald.com/article/10478765, 2025년 6월 1일 접속.